반응형

 

 

 

 

 

기후동행카드는 1회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이 서울 대중교통 무제한 카드가 2024년 1월 27일 출시를 확정 지었습니다.

지하철, 버스, 따릉이까지 월 65,000원에 무제한 이용가능한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바로가기

 

 

실물카드 이미지

 

 

 

 

 

카드 판매일 및 판매처

1월 23일부터 모바일티머니 어플에서 다운 또는 역사 내 편의점에서 실물카드 판매

 

안드로이드 티머니 앱 바로가기

아이폰 티머니 페이 앱 바로가기

 

 

 

실물카드 판매처: 서울교통공사 1~8소선 고객안전실과 인근 편의점

(편의점 판매처 목록 및 위치는 1월 초 서울시 홈페이지에 별도 게시 예정)

 

 

 

카드 충전 시 충전일로부터 5일 이내 사용개시일 선택가능 (예: 1월 23일 충전시 1월 27일부터 사용가능)

 

 

 

카드종류

모바일카드(안드로이드 휴대전화), 실물카드(ios 기반 휴대전화, 디지털 약자)

 

 

 

 

 

 

 

카드 사용방법 및 환불

사용개시일부터 30일간 사용가능

 

환불: 사용기간 만료 전(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잔액 환불을 원하는 고객은 환불가능

(환불액: 카드 충전금 - 대중교통 실 사용액 - 수수료 500원)

 

 

 

이용 가능 범위

서울 지역 내 지하철 

2 / 6 / 8 / 9호선: 전구간

1호선: 온수/금천구청 ~ 도봉산

3호선: 지축 ~ 오금

4호선: 남태령 ~ 당고개

수인분당선: 청량리 ~ 복정

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역

 

요금체계가 다른 신분당선 제외

 

서울 지역 내 버스

서울시 시내, 마을버스 모두 무제한 이용 가능

 

경기, 인천 면허 버스와 요금체계가 다른 광역 심야버스는 제외

 

따릉이(옵션)

 

 

 

 

 

 

 

 

 

요금제

2가지 요금제

6만 5천원권: 따릉이 이용 가능

6만 2천원권: 버스, 지하철만 이용 

62,000원권(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65,000원권(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따릉이)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할 수 있는 요금제를 지속해서 개발할 예정

 

 

타지역 이용

인천, 김포는 참여 협약을 맺은 상태이나 세부 논의가 끝나지 않아서 4월부터 사용 가능할 예정

(시범사업 기간 동안 타 지자체 이용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

인천, 김포 광역 버스와 김포 골드 라인으로도 확대됩니다. 광역 버스를 추가하면 요금은 월 10~12만원이 될 전망입니다.

다른 교통수단과 인근 도시도 내년 7월 본사업 참여를 목표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시민 50만명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 할인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대중교통과 따릉이 이용률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월 6만5천원의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월 9만8천원에서 3만원 넘게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시는 즉각적인 요금부담 완화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아져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도입 시 연간 약 1만3천대의 승용차 이용이 감소하고 연간 약 3만2천톤의 온실가스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독일, 프랑스 등 세계 각국에서는 치솟는 국제 유가와 범지구적인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무제한 교통카드를 도입하여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가 대중화되어 개인의 돈도 절약하고 환경도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